https://opentutorials.org/course/1223/4551 언어소개 - 생활코딩 Java의 역사 1995년 자바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제임스 고슬링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서 시작된 프로젝트다. Java는 원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언어로 고안되었지만 웹의 등장으로 엄청난 성공 opentutorials.org '생활코딩'의 Java 관련 수업을 바탕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블로그에 퍼가도 괜찮다고 기재되어 있어서 블로그에 쓸 예정ㅎㅎ) (1) 언어 소개 처음에는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언어로 고안되었는데 웹이 등장하면서, 특히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가 이루어지며 주류로 자리잡았고, 안드로이드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자바의 수..
프로그래밍과 논리/수학 (1) 논리와 증명 직관 : 익숙한 상황에서 빠를 수 있지만, 틀리거나 착각을 일으킬 수 있음 프로그래밍에는 직관이 아닌 "논리"가 중요하다. soft logic, 직관으로 알고리즘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오해가 생기고 이해가 어려워질 수 있음. hard logic으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 ♧ 'p이면 q이다' 라는 명제에서 p가 거짓이면 이 명제는 항상 참이다. "증명"은 정확한 명제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 p→q, p↔q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기! ♣ 수학적 귀납법 => P(n)이 참인 것은 중요하지 않음. P(n)이 참일 때 P(n+1)이 참인 그 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 어떤 상황에 대해 수학적 귀납법을 쓰고자 하면, 우선 증명이 가능한 명제를 만..
국비지원 강의 들으며 포스팅 한 후에 오랜만에 글을 써본다. 오랜만에 글을 쓰는 이유는 SSAFY 9기 준비했던 과정을 좀 남겨볼까 해서다. (보안서약서를 썼기 때문에 자세한 이야기는 할 수 없지만, 내가 어떻게 준비했는지와 지금의 마음가짐을 기록해두기 위함!) 내 전공은 바이오메디컬공학이다. 학부 때 회로, 코딩 (주로 임베디드), 의학 등등 넓고 얕게 배운다. 많은 분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동시에 어느 분야에서도 깊게 알지 못하는 느낌이다. 그래서 대부분 대학원을 가거나 아니면 전자 쪽으로 취업을 한다. 그러나 나는 어느 쪽도 아닌 듯 싶어 고민을 하다가 4학년에 접어들어서 코딩 쪽으로 눈을 돌려 보았다. 그래도 적성에 맞았던 것 같고, 앞으로 개발자에 대한 수요도 많을 듯 하니 꽤나..
내용이 나뉘어서 5주차는 (1)과 (2)로 나눴다. 1. 웹서비스 런칭 이제 내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리는 작업을 해 볼 것이다. 웹서비스 런칭을 위해서는 서버가 클라리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 1) 컴퓨터가 항상 켜져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하고, 2)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해요. 1번 조건을 보면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고 한다. 지금까지는 로컬 환경에서 구축을 했기 때문에 내 컴퓨터에서 서버를 만들고 실행했지만, 웹서비스 런칭을 위해 내 컴퓨터를 계속 켜 놓을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
이제 마지막 주차 강의이다. 5주차에서는 4주차에서 하던 내용들을 복습할 겸 '버킷리스트' 프로젝트를 해보고 + 이제 다른 사람들도 나의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해보고자 한다. 0. 설치 프로그램 1) Filezilla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 우선 다운로드만 해뒀음 2) 가비아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회원가입 한 후에 도메인 구매! .shop 도메인이 500원/1년으로 할인 중이어서 500원에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었다. 아무거나 하면 된다길래 적당히 아무도 안 샀을 법한 이름으로 구매했다. 1. 버킷리스트 (1-1) 프로젝트 세팅..
*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서버도 만들고 접속도 해보는 것 = 로컬 개발환경 서버 테스트 하자고 컴퓨터를 한 대 더 살 수는 없으니까.. => 앞으로의 프로젝트들 저장할 폴더도 만들어 둠 ☞ bucket : 버킷리스트 (5주차) ☞ homework : 팬명록 (4주차 숙제) ☞ mars : 화성땅공동구매 (4주차) ☞ movie : 스파르타피디아 (4주차) ☞ prac : flask 연습 (4주차) 1. Flask 시작하기 - 서버 만들기, HTML 파일 주기, API 만들기 우선, prac 폴더에 새 프로젝트 만들고 (venv는 전에도 말했지만 안 보이는 것처럼 생각하기! 건들지 X) flask 패키지 설치 * flask 패키지란?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 모음. 개발자들이 서버를 직접 다 만드는 ..
개발 일지 작성을 벨로그에서 시작했었는데 티스토리가 더 직관적이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이제부터는 여기로 옮겨올까 한다! 그래서 몇 개 되지는 않지만 벨로그에서의 기록들을 우선 여기에 남겨두려 한다. 1. https://velog.io/@nikki601/2022.07.25-1%EC%A3%BC%EC%B0%A8-%EC%88%98%EC%97%85-ing 2022.07.25 1주차 수업 ing 첫 개강일이었다. 국비지원으로 수업 받겠다고 내일배움카드 발급이며 수업 신청이며 자잘하게 신경 쓸 일들이 많았는데 드디어 수업을 시작한다니 뭔가 설레기도 하고 드디어 개발자를 위한 velog.io 2. https://velog.io/@nikki601/2022.07.26-1%EC%A3%BC%EC%B0%A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