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JAVA] 1182_부분수열의 합

2023. 7. 3. 16:06·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목차
  1. 백준🔗
  2. 문제
  3. 간단 풀이
  4. 코드
  5. 참고 자료

백준🔗

 

1182번: 부분수열의 합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N과 정수 S가 주어진다. (1 ≤ N ≤ 20, |S| ≤ 1,000,000)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의 절댓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www.acmicpc.net

 

 

문제

 

 

간단 풀이

"1208_부분수열의 합 2" 문제를 풀려다가 감이 잘 잡히지 않아서 이 문제부터 먼저 풀어 보았다.

 

수열의 원소 개수인 N이 최대 20이기 때문에 부분 수열은 최대 2^20개가 있을 수 있다.

2^20 = (2^10)*(2^10) => 대략 100만 정도.. (정확한 계산값은 2^20 = 1,048,576)

하나의 부분 순열에 대해 원소의 합을 구하는 데는 최대 N만큼이 든다고 하면 최대 O(N*2^N) 정도의 시간복잡도가 소요된다고 계산이 된다. 모든 부분수열을 구해서 원소의 합을 구하는 완전탐색을 해도 충분히 시간 내에 해결이 가능하겠다는 판단이 들었고, 아래의 코드대로 구현을 했다

 

보통 부분 수열을 구할 때 재귀를 많이 사용한다.

원소를 하나씩 보면서 1) 해당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 2) 해당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다시 재귀함수를 부르는 방식으로 나아가면 원소를 끝까지 탐색했을 때 모든 경우의 부분수열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이번에 비트마스킹을 사용했다.

싸피 1학기 수업에서 배웠던 방법인데, 재귀함수를 돌릴 필요가 없어서 원리만 이해한다면 더 간단한 방식이라고 생각이 된다. 한동안 잘 안 썼던 방법이라 연습도 해볼 겸 비트마스킹으로 구현했다.

2중 for문 중 첫 번째 for문은 2^N개의 부분집합들을 하나씩 보는 것이다.

두 번째 for문은 각각의 부분집합에 원소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따져서 포함되는 경우 내가 원하는 로직을 실행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원소의 개수가 2개인 수열을 생각해보자.

1) i = 0

   1-1) 부분집합 0에 0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x

   1-2) 부분집합 0에 1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x

2) i = 1

   2-1) 부분집합 1에 0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o

 

   2-2) 부분집합 1에 1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x

3) i = 2

   3-1) 부분집합 2에 0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x

   3-2) 부분집합 2에 1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o

 

4) i = 3

   4-1) 부분집합 3에 0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o

   4-2) 부분집합 3에 1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  =>  포함 o

 

위와 같은 원리로 각각의 부분집합에 어떤 원소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코드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정수 개수
		int S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합이 S인 부분수열 개수 구하기
		int[] arr = new int[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arr[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비트마스킹으로 부분순열 구하기
		int cnt = 0;
		for (int i = 1; i < (1 << N); i++) { // 부분집합 i (크기가 양수이니까 0 제외)
			int sum = 0; // 부분집합 i에 포함되는 원소들의 합
			for (int j = 0; j < N; j++) { // j번째 원소
				// 부분집합 i에 j번째 원소가 포함되는 경우
				if ((i & (1 << j)) > 0) {
					sum += arr[j];
				}
			}
			if (sum == S)
				cnt++;
		}
		System.out.println(cnt);
	}
}

 

참고 자료

  1. 백준🔗
  2. 문제
  3. 간단 풀이
  4. 코드
  5. 참고 자료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JAVA] 11049_행렬 곱셈 순서
  • [백준/JAVA] 1208_부분수열의 합2
  • [백준/JAVA] 2294_동전2
  • [백준/JAVA] 14503_로봇청소기
유댕둥당
유댕둥당
유댕둥당
유댕's log
유댕둥당
글쓰기 관리자
전체
오늘
어제
  • 카테고리 (78)
    • 🖥️Computer Science (34)
      • 알고리즘 (34)
    • 🔠Language (5)
      • Java (0)
      • Kotlin (3)
      • C (2)
    • 📥SQL (7)
      • Oracle (6)
    • ♾️DevOps (7)
      • Docker (7)
      • Kubernetes (0)
    • 🐱Git (5)
    • 📁PJT (2)
    • 🧑‍💻Lecture (7)
      • SSAFY (3)
      • 스파르타 코딩클럽 (4)
    • 🎁일상 (11)
      • 국내여행 (4)
      • 해외여행 (0)
      • 일본생활 (7)

블로그 메뉴

  • 👉인스타(SSAFYcial) @ssafycial_yujung
  • 👉인스타(개인) @ik_yu_jung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회원가입
  • 썬플라워
  • 오라클
  • MySQL
  • 볼륨
  • Oracle
  • 일본
  • 자전거탄풍경
  • 워드프레스
  • 오블완
  • dockerfile
  • C언어
  • 컨테이너
  • SQL
  • 라인모
  • docker
  • 티스토리챌린지
  • 독도박물관
  • 도커
  • 통신사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0
유댕둥당
[백준/JAVA] 1182_부분수열의 합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